서론
안녕하세요, 오늘 우리는 영어 성경, 특히 킹 제임스 버전(KJV)의 로마서 5장 12절부터 21절까지를 깊이 있게 탐구해 보겠습니다. 이 구절은 기독교 신학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인간의 죄와 구원의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우리는 문법적인 분석과 신앙적인 의미를 함께 살펴보면서, 이 구절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를 명확히 이해하고자 합니다. 영어 공부와 신앙적 성찰을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각 절마다 영문법 설명과 신학적 의미를 균형 있게 다루겠습니다.
로마서 5장 12절 (Romans 5:12)
원문: Wherefore, as by one man sin entered into the world, and death by sin; and so death passed upon all men, for that all have sinned:
영문법 분석:
- Wherefore: 그러므로, 따라서 (Therefore)
- as by one man: 한 사람에 의해 (through one man)
- sin entered into the world: 죄가 세상에 들어왔다
- death by sin: 죄로 인한 죽음
- so death passed upon all men: 그래서 죽음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다
- for that all have sinned: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기 때문에 (because all sinned)
이 문장에서 중요한 문법 요소는 ‘as…so…’ 구문입니다. 이는 ‘A가 B한 것처럼, C도 D하다’라는 의미로, 인과 관계를 나타냅니다. 또한, ‘for that’은 ‘because’와 같은 의미로 이유를 설명합니다. 과거 완료 시제 (have sinned)는 모든 사람이 과거에 죄를 지었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신앙적 의미:
이 절은 아담 한 사람의 죄로 인해 죄와 죽음이 세상에 들어왔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아담의 불순종은 모든 인류에게 영향을 미쳐, 모든 사람이 죄인으로 태어나게 되었습니다. 이는 원죄(original sin)의 교리를 뒷받침하는 중요한 구절입니다. 죽음은 죄의 결과이며,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기 때문에 죽음을 피할 수 없습니다.
로마서 5장 13절 (Romans 5:13)
원문: (For until the law sin was in the world: but sin is not imputed when there is no law.
영문법 분석:
- For until the law: 율법이 있기 전까지는
- sin was in the world: 죄가 세상에 있었다
- but sin is not imputed: 그러나 죄는 간주되지 않는다
- when there is no law: 율법이 없을 때
이 구절에서 중요한 점은 ‘imputed’라는 단어입니다. 이는 ‘간주되다’, ‘돌려지다’라는 의미로, 죄가 법이 없을 때는 법을 어긴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until’은 ‘~까지’라는 시간을 나타내는 접속사입니다.
신앙적 의미:
율법이 있기 전에도 죄는 세상에 존재했지만, 율법이 없었기 때문에 죄를 범한 것으로 명확하게 간주되지는 않았습니다. 이는 율법이 죄를 드러내고 죄의 기준을 명확히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율법이 있기 전에도 인간은 죄를 지었지만, 율법이 주어짐으로써 죄의 심각성이 더욱 명확해졌습니다.
로마서 5장 14절 (Romans 5:14)
원문: Nevertheless death reigned from Adam to Moses, even over them that had not sinned after the similitude of Adam’s transgression, who is the figure of him that was to come.
영문법 분석:
- Nevertheless: 그럼에도 불구하고
- death reigned from Adam to Moses: 죽음은 아담부터 모세까지 다스렸다
- even over them that had not sinned: 심지어 죄를 짓지 않은 자들에게도
- after the similitude of Adam’s transgression: 아담의 범죄와 같은 방식으로
- who is the figure of him that was to come: 그는 오실 분의 모형이다
여기서 중요한 문법 요소는 ‘reigned’라는 단어입니다. 이는 ‘다스리다’, ‘지배하다’라는 의미로, 죽음이 아담부터 모세 시대까지 강력하게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또한, ‘similitude’는 ‘유사함’, ‘모습’이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아담부터 모세 시대까지, 율법이 주어지기 전에도 죽음은 모든 사람을 지배했습니다. 심지어 아담과 같은 방식으로 죄를 짓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죽음이 찾아왔습니다. 이는 아담의 죄가 모든 인류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또한, 아담은 ‘오실 분’, 즉 예수 그리스도의 모형으로 제시됩니다. 이는 아담의 죄가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과 대조를 이루는 것을 암시합니다.
로마서 5장 15절 (Romans 5:15)
원문: But not as the offence, so also [is] the free gift. For if through the offence of one many be dead, much more the grace of God, and the gift by grace, [which is] by one man, Jesus Christ, hath abounded unto many.
영문법 분석:
- But not as the offence, so also [is] the free gift: 범죄와 은사는 같지 않다
- For if through the offence of one many be dead: 한 사람의 범죄로 많은 사람이 죽었다면
- much more the grace of God: 하나님의 은혜는 훨씬 더 크다
- and the gift by grace: 은혜로 말미암은 선물
- which is by one man, Jesus Christ: 한 사람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것
- hath abounded unto many: 많은 사람에게 넘치도록 주어졌다
여기서 중요한 문법 구조는 ‘not as…so also…’ 구문입니다. 이는 ‘A와 B는 같지 않다’라는 의미로, 아담의 범죄와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를 대조합니다. ‘hath abounded’는 고어체로 ‘has abounded’와 같은 의미이며, ‘넘치도록 주어졌다’라는 뜻입니다.
신앙적 의미:
아담의 범죄로 인해 많은 사람이 죽었지만,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주어지는 하나님의 은혜는 훨씬 더 크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아담의 죄는 죽음을 가져왔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는 영생을 가져다줍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는 아담의 죄의 결과를 압도하며, 모든 사람에게 풍성하게 주어집니다.
로마서 5장 16절 (Romans 5:16)
원문: And not as [it was] by one that sinned, [so is] the gift: for the judgment [was] by one to condemnation, but the free gift [is] of many offences unto justification.
영문법 분석:
- And not as [it was] by one that sinned, [so is] the gift: 한 사람이 죄를 지은 것과 같지 않다, 은사는
- for the judgment [was] by one to condemnation: 심판은 한 사람으로 말미암은 정죄였다
- but the free gift [is] of many offences unto justification: 그러나 은사는 많은 범죄로부터 의롭다 하심이다
이 구절에서는 ‘condemnation’과 ‘justification’이 중요한 대조를 이룹니다. ‘Condemnation’은 ‘정죄’, ‘유죄 판결’을 의미하며, ‘justification’은 ‘의롭다 하심’, ‘무죄 선고’를 의미합니다. ‘unto’는 ‘~에 이르기까지’, ‘~로 향하여’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신앙적 의미:
아담 한 사람의 죄로 인해 모든 사람이 정죄를 받았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는 많은 범죄로부터 우리를 의롭게 합니다. 심판은 한 번의 죄로 인한 정죄였지만, 은사는 많은 죄를 덮고 의롭다 하심을 가져다줍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이 아담의 죄의 영향력을 능가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로마서 5장 17절 (Romans 5:17)
원문: For if by one man’s offence death reigned by one; much more they which receive abundance of grace and of the gift of righteousness shall reign in life by one, Jesus Christ.)
영문법 분석:
- For if by one man’s offence death reigned by one: 한 사람의 범죄로 죽음이 한 사람을 통해 다스렸다면
- much more they which receive abundance of grace: 은혜의 풍성함을 받는 자들은 훨씬 더
- and of the gift of righteousness: 의의 선물을
- shall reign in life by one, Jesus Christ: 한 분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생명 안에서 다스릴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단어는 ‘reign’입니다. 앞서 14절에서 죽음이 ‘reigned’했다면, 여기서는 의를 받은 자들이 생명 안에서 ‘reign’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abundance’는 ‘풍성함’, ‘넘침’을 의미합니다.
신앙적 의미:
아담의 죄로 인해 죽음이 우리를 다스렸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의의 선물을 받은 자들은 생명 안에서 다스릴 것입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죽음을 이기고 영생을 얻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담의 죄는 죽음을 가져왔지만, 예수 그리스도는 생명과 승리를 가져다줍니다.
로마서 5장 18절 (Romans 5:18)
원문: Therefore as by the offence of one judgment came upon all men to condemnation; even so by the righteousness of one [the free gift came] upon all men unto justification of life.
영문법 분석:
- Therefore as by the offence of one judgment came upon all men to condemnation: 그러므로 한 사람의 범죄로 말미암아 심판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러 정죄에 이르게 되었듯이
- even so by the righteousness of one [the free gift came] upon all men unto justification of life: 이와 같이 한 사람의 의로 말미암아 [은혜의 선물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러 생명의 의롭다 하심에 이르게 되었다
이 구절은 12절의 내용을 다시 한번 강조하면서, 아담의 죄와 예수 그리스도의 의를 대조합니다. ‘even so’는 ‘이와 같이’, ‘마찬가지로’라는 의미로, 앞 문장과 유사한 방식으로 연결합니다.
신앙적 의미:
아담의 죄로 인해 모든 사람이 정죄를 받았듯이, 예수 그리스도의 의로 인해 모든 사람이 생명의 의롭다 하심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이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담의 죄는 모든 사람에게 영향을 미쳤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의 또한 모든 사람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로마서 5장 19절 (Romans 5:19)
원문: For as by one man’s disobedience many were made sinners, so by the obedience of one shall many be made righteous.
영문법 분석:
- For as by one man’s disobedience many were made sinners: 한 사람의 불순종으로 많은 사람이 죄인이 되었듯이
- so by the obedience of one shall many be made righteous: 이와 같이 한 사람의 순종으로 많은 사람이 의롭게 될 것이다
이 구절은 아담의 불순종과 예수 그리스도의 순종을 다시 한번 대조합니다. ‘disobedience’는 ‘불순종’, ‘obedience’는 ‘순종’을 의미합니다. ‘were made’는 ‘~이 되다’라는 의미로, 아담의 불순종으로 인해 죄인이 되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신앙적 의미:
아담의 불순종으로 인해 많은 사람이 죄인이 되었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순종으로 인해 많은 사람이 의롭게 될 것입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순종이 아담의 불순종의 결과를 완전히 뒤집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뜻에 완전히 순종하심으로써, 우리에게 의를 선물로 주셨습니다.
로마서 5장 20절 (Romans 5:20)
원문: Moreover the law entered, that the offence might abound. But where sin abounded, grace did much more abound:
영문법 분석:
- Moreover the law entered: 율법이 들어왔다
- that the offence might abound: 범죄가 더 많아지게 하기 위하여
- But where sin abounded, grace did much more abound: 그러나 죄가 더 많아진 곳에 은혜가 더욱 넘쳤다
여기서 ‘abound’는 ‘풍성하다’, ‘넘치다’라는 의미로, 죄와 은혜가 모두 풍성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Moreover’는 ‘게다가’, ‘더욱이’라는 의미로, 앞의 내용에 더하여 새로운 정보를 제공합니다.
신앙적 의미:
율법이 들어온 이유는 죄를 더 많이 드러내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러나 죄가 더 많아진 곳에 하나님의 은혜가 더욱 넘쳤습니다. 이는 율법이 죄를 드러내지만, 하나님의 은혜는 죄를 능가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율법은 죄를 깨닫게 하지만, 은혜는 죄를 용서하고 구원을 베풉니다.
로마서 5장 21절 (Romans 5:21)
원문: That as sin hath reigned unto death, even so might grace reign through righteousness unto eternal life by Jesus Christ our Lord.
영문법 분석:
- That as sin hath reigned unto death: 죄가 죽음에 이르도록 다스렸듯이
- even so might grace reign through righteousness: 이와 같이 은혜가 의를 통해 다스리게 하려 함이니
- unto eternal life by Jesus Christ our Lord: 예수 그리스도 우리 주를 통해 영생에 이르도록
이 구절은 5장의 마지막 구절로, 죄와 은혜의 최종적인 결과를 요약합니다. ‘hath reigned’는 고어체로 ‘has reigned’와 같은 의미이며, ‘다스렸다’라는 뜻입니다. ‘unto’는 ‘~에 이르도록’이라는 의미로, 최종적인 목적지를 나타냅니다.
신앙적 의미:
죄가 죽음에 이르도록 다스렸듯이, 은혜는 의를 통해 다스려 영생에 이르게 합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죄와 죽음의 권세를 이기고 영원한 생명을 얻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5장 전체는 아담의 죄와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를 대조하면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메시지를 강조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의 주님이시며, 그분을 통해 우리는 영생을 얻을 수 있습니다.
결론
로마서 5장 12절부터 21절까지의 내용을 통해, 우리는 아담의 죄와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라는 기독교 신학의 핵심 주제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아담의 죄는 모든 인류에게 죄와 죽음을 가져왔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는 우리에게 의와 영생을 선물로 주셨습니다. 이 구절들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과 구원의 계획을 더욱 깊이 깨닫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주어진 영생의 소망을 굳건히 할 수 있습니다. 영문법적인 분석과 신앙적인 의미를 함께 살펴보면서, 이 구절들이 우리 삶에 주는 메시지를 묵상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