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성경 해설: 로마서 7장 1절~14절 (KJV)

서론

오늘 우리는 영어 성경, 특히 킹 제임스 버전(KJV)의 로마서 7장 1절부터 14절까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이 구절은 기독교 신앙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율법, 죄, 그리고 그리스도인의 삶에서의 갈등을 다룹니다. 우리는 각 절을 영문법적으로 분석하고, 그 신앙적 의미를 탐구하여 여러분의 영어 실력 향상과 신앙적 성장에 도움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로마서 7장 1절 해설

영어 구절: Know ye not, brethren, (for I speak to them that know the law,) how that the law hath dominion over a man as long as he liveth?

영문법 분석:

  • Know ye not: "Know"는 동사, "ye"는 고어체로 "you"를 의미합니다. "Know ye not?"은 "Do you not know?"와 같은 의미로, 질문을 통해 독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표현입니다.
  • brethren: 형제자매들이라는 의미로, 바울이 편지를 받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호칭입니다.
  • (for I speak to them that know the law,): 괄호 안의 내용은 삽입구로서, 바울이 율법에 대해 잘 아는 사람들에게 이야기하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them that know the law"는 관계대명사 "that"을 사용하여 "율법을 아는 사람들"을 수식합니다.
  • how that the law hath dominion over a man as long as he liveth?: "how that"은 "…라는 것을"이라는 의미로,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역할을 합니다. "hath"는 고어체로 "has"와 같은 의미입니다. "dominion"은 지배, 통치라는 의미입니다. "as long as he liveth"는 "그가 살아 있는 동안"이라는 의미로, 시간의 부사절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율법이 사람이 살아있는 동안만 그 사람을 지배한다는 것을 상기시킵니다. 이는 율법이 죽음으로써 그 효력을 잃게 된다는 중요한 점을 암시합니다.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 안에서 죽고 다시 살아남으로써 율법으로부터 자유로워진다는 개념으로 이어집니다.

로마서 7장 2절 해설

영어 구절: For the woman which hath an husband is bound by the law to her husband so long as he liveth; but if the husband be dead, she is loosed from the law of her husband.

영문법 분석:

  • For: 접속사로, 앞 문장에 대한 이유나 설명을 제공합니다.
  • the woman which hath an husband: "which"는 관계대명사로, "the woman"을 수식합니다. "hath"는 고어체로 "has"와 같은 의미입니다.
  • is bound by the law to her husband: "be bound by the law"는 법적으로 구속되다, 묶이다라는 의미입니다.
  • so long as he liveth: 앞 절과 마찬가지로, "그가 살아 있는 동안"이라는 의미의 시간 부사절입니다.
  • but if the husband be dead: "if"는 조건절을 이끄는 접속사입니다. "be dead"는 죽었다는 의미입니다.
  • she is loosed from the law of her husband: "be loosed from"은 ~로부터 풀려나다, 자유로워지다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결혼 관계의 법적 비유를 사용하여 율법과 그리스도인의 관계를 설명합니다. 남편이 살아있는 동안 아내는 남편에게 법적으로 묶여 있지만, 남편이 죽으면 그 법적 구속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집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와 함께 죽음으로써 율법의 구속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살 수 있습니다.

로마서 7장 3절 해설

영어 구절: So then if, while her husband liveth, she be married to another man, she shall be called an adulteress: but if her husband be dead, she is free from that law; so that she is no adulteress, though she be married to another man.

영문법 분석:

  • So then if, while her husband liveth: "so then"은 결론을 이끌어내는 연결어입니다. "while her husband liveth"는 "남편이 살아있는 동안"이라는 의미의 시간 부사절입니다.
  • she be married to another man: "be married to"는 ~와 결혼하다라는 의미입니다.
  • she shall be called an adulteress: "adulteress"는 간음하는 여자라는 의미입니다. "shall be called"는 미래 시제로, 그렇게 불릴 것이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 but if her husband be dead: 앞 절과 마찬가지로, "남편이 죽으면"이라는 의미의 조건절입니다.
  • she is free from that law: "be free from"은 ~로부터 자유롭다는 의미입니다.
  • so that she is no adulteress, though she be married to another man: "so that"은 결과를 나타내는 접속사로, "…하게 되므로"라는 의미입니다. "though"는 양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일지라도"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이 구절은 앞 절의 비유를 더욱 강조합니다. 남편이 살아있는 동안 다른 남자와 결혼하면 간음하는 여자가 되지만, 남편이 죽으면 법적으로 자유로워져 다른 남자와 결혼해도 간음이 아닙니다. 이는 그리스도인이 옛 삶(율법 아래의 삶)에 대해 죽고,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삶을 사는 것을 비유적으로 보여줍니다.

로마서 7장 4절 해설

영어 구절: Wherefore, my brethren, ye also are become dead to the law by the body of Christ; that ye should be married to another, even to him who is raised from the dead, that we should bring forth fruit unto God.

영문법 분석:

  • Wherefore: 그러므로, 따라서라는 의미의 연결어입니다.
  • my brethren: 나의 형제자매들이라는 의미로, 바울이 편지를 받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호칭입니다.
  • ye also are become dead to the law: "be become dead to"는 ~에 대해 죽었다는 의미입니다.
  • by the body of Christ: "by"는 수단을 나타내는 전치사로, "그리스도의 몸을 통해"라는 의미입니다.
  • that ye should be married to another: "that"은 목적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하기 위해서"라는 의미입니다.
  • even to him who is raised from the dead: "even to"는 ~에게까지, ~에게도라는 의미로, "who is raised from the dead"는 관계대명사 "who"를 사용하여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신 분"을 수식합니다.
  • that we should bring forth fruit unto God: "bring forth fruit"는 열매를 맺다라는 의미입니다. "unto"는 ~에게라는 의미의 고어체 전치사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그리스도인이 그리스도의 몸을 통해 율법에 대해 죽었다고 선언합니다. 이는 우리가 그리스도와 연합하여 율법의 정죄로부터 자유로워졌음을 의미합니다. 이제 우리는 죽음에서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결혼하여 하나님께 열매를 맺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로마서 7장 5절 해설

영어 구절: For when we were in the flesh, the motions of sins, which were by the law, did work in our members to bring forth fruit unto death.

영문법 분석:

  • For: 접속사로, 앞 문장에 대한 이유나 설명을 제공합니다.
  • when we were in the flesh: "in the flesh"는 육신에 속해 있을 때, 육체의 욕망에 따라 살 때라는 의미입니다.
  • the motions of sins, which were by the law: "motions of sins"는 죄의 충동, 죄의 욕망이라는 의미입니다. "which were by the law"는 관계대명사 "which"를 사용하여 "율법으로 말미암은" 죄의 충동을 수식합니다.
  • did work in our members: "did work"는 강조 용법으로, 실제로 작용했다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members"는 몸의 지체, 즉 우리의 몸을 의미합니다.
  • to bring forth fruit unto death: "to bring forth fruit"는 열매를 맺다라는 의미입니다. "unto death"는 죽음에 이르는, 죽음을 초래하는이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우리가 육신에 속해 율법 아래 있었을 때, 율법으로 말미암은 죄의 충동이 우리 안에서 작용하여 죽음에 이르는 열매를 맺었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율법 자체가 죄를 유발하는 것은 아니지만, 죄가 율법을 이용하여 우리를 유혹하고 넘어지게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로마서 7장 6절 해설

영어 구절: But now we are delivered from the law, that being dead wherein we were held; that we should serve in newness of spirit, and not in the oldness of the letter.

영문법 분석:

  • But now: 그러나 이제라는 의미로, 이전의 상태와 대조를 이룹니다.
  • we are delivered from the law: "be delivered from"은 ~로부터 구원받다, 해방되다라는 의미입니다.
  • that being dead wherein we were held: "that"은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로, "… 때문에"라는 의미입니다. "being dead"는 분사구문으로, "죽었기 때문에"라는 의미입니다. "wherein we were held"는 관계부사 "wherein"을 사용하여 "우리가 붙잡혀 있던 것"을 수식합니다.
  • that we should serve in newness of spirit: "that"은 목적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하기 위해서"라는 의미입니다. "in newness of spirit"는 성령의 새로운 방식으로, 새로운 마음으로라는 의미입니다.
  • and not in the oldness of the letter: "in the oldness of the letter"는 율법의 문자적인 방식으로, 옛 방식으로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우리가 율법으로부터 구원받아, 우리를 붙잡고 있던 것에 대해 죽었으므로, 이제는 성령의 새로운 방식으로 하나님을 섬겨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이는 율법의 문자적인 준수가 아니라,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하나님을 섬기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합니다.

로마서 7장 7절 해설

영어 구절: What shall we say then? Is the law sin? God forbid. Nay, I had not known sin, but by the law: for I had not known lust, except the law had said, Thou shalt not covet.

영문법 분석:

  • What shall we say then?: 그렇다면 우리가 무엇이라고 말해야 할까요?라는 의미로, 질문을 통해 논의를 시작합니다.
  • Is the law sin?: 율법이 죄입니까?라는 의미로, 예상되는 반론에 대한 질문입니다.
  • God forbid.: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라는 의미로, 강한 부정의 표현입니다.
  • Nay, I had not known sin, but by the law: "nay"는 아니오라는 의미입니다. "but by the law"는 율법을 통해서만, 율법에 의해서만이라는 의미입니다.
  • for I had not known lust, except the law had said, Thou shalt not covet.: "lust"는 탐욕, 욕망이라는 의미입니다. "except"는 ~을 제외하고는, ~이 아니라면이라는 의미입니다. "Thou shalt not covet"은 십계명 중 하나로, "탐내지 말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율법이 죄냐는 질문에 대해 단호하게 부정하며, 율법이 없었다면 죄를 알 수 없었을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율법은 죄를 드러내고 죄가 무엇인지 알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율법이 "탐내지 말라"고 하지 않았다면, 우리는 탐욕이 죄인지 몰랐을 것입니다.

로마서 7장 8절 해설

영어 구절: But sin, taking occasion by the commandment, wrought in me all manner of concupiscence. For without the law sin was dead.

영문법 분석:

  • But sin, taking occasion by the commandment: "taking occasion by"는 ~을 기회로 삼아, ~을 틈타라는 의미입니다. "commandment"는 계명, 명령이라는 의미입니다.
  • wrought in me all manner of concupiscence: "wrought"는 "work"의 과거형으로, 작용하다, 일으키다라는 의미입니다. "all manner of concupiscence"는 온갖 종류의 욕망, 탐욕이라는 의미입니다.
  • For without the law sin was dead.: "without the law"는 율법이 없다면이라는 의미입니다. "sin was dead"는 죄가 죽은 상태였다, 활동하지 못했다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죄가 계명을 틈타 자신 안에서 온갖 종류의 욕망을 일으켰다고 말합니다. 이는 율법이 죄를 드러내고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율법이 없다면 죄는 잠재되어 있거나 죽은 상태와 같을 것입니다.

로마서 7장 9절 해설

영어 구절: For I was alive without the law once: but when the commandment came, sin revived, and I died.

영문법 분석:

  • For I was alive without the law once: "alive without the law"는 율법 없이 살아 있었다, 즉 율법을 알지 못했을 때 살아 있었다는 의미입니다. "once"는 한때, 예전에라는 의미입니다.
  • but when the commandment came: "when the commandment came"는 계명이 왔을 때, 율법을 알게 되었을 때라는 의미입니다.
  • sin revived, and I died: "revived"는 되살아났다, 활성화되었다는 의미입니다. "I died"는 자신이 죽었다, 즉 율법 앞에서 죄인으로 드러났다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자신이 율법을 알기 전에는 살아 있는 듯했지만, 율법이 오자 죄가 되살아나고 자신이 죽었다고 말합니다. 이는 율법이 죄를 깨닫게 하고, 죄인으로서의 자신을 인식하게 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로마서 7장 10절 해설

영어 구절: And the commandment, which was ordained to life, I found to be unto death.

영문법 분석:

  • And the commandment, which was ordained to life: "ordained to life"는 생명을 주도록 정해진, 생명을 위한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which was ordained to life"는 관계대명사 "which"를 사용하여 "생명을 주도록 정해진 계명"을 수식합니다.
  • I found to be unto death: "unto death"는 죽음에 이르는, 죽음을 초래하는이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생명을 주도록 정해진 율법이 자신에게는 오히려 죽음에 이르는 것이 되었다고 말합니다. 이는 율법을 지키지 못하는 인간의 연약함과 죄성을 드러냅니다. 율법은 죄를 깨닫게 하고 정죄하지만, 스스로 구원할 수는 없습니다.

로마서 7장 11절 해설

영어 구절: For sin, taking occasion by the commandment, deceived me, and by it slew me.

영문법 분석:

  • For sin, taking occasion by the commandment: 앞의 8절과 마찬가지로, "죄가 계명을 틈타"라는 의미입니다.
  • deceived me: "deceived"는 속이다, 기만하다라는 의미입니다.
  • and by it slew me: "slew"는 "slay"의 과거형으로, 죽이다라는 의미입니다. "by it"은 "계명을 통해"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죄가 계명을 틈타 자신을 속이고 죽였다고 말합니다. 이는 죄가 율법을 이용하여 우리를 유혹하고 넘어뜨려 영적으로 죽게 만든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로마서 7장 12절 해설

영어 구절: Wherefore the law is holy, and the commandment holy, and just, and good.

영문법 분석:

  • Wherefore: 그러므로, 따라서라는 의미의 연결어입니다.
  • the law is holy: "holy"는 거룩한, 신성한이라는 의미입니다.
  • and the commandment holy, and just, and good: "just"는 공정한, 정의로운이라는 의미입니다. "good"은 선한, 좋은이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율법은 거룩하고, 계명은 거룩하고, 공정하며, 선하다고 선언합니다. 이는 율법 자체는 흠이 없고 완벽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문제는 율법이 아니라, 율법을 지키지 못하는 인간의 죄성에 있습니다.

로마서 7장 13절 해설

영어 구절: Was then that which is good made death unto me? God forbid. But sin, that it might appear sin, working death in me by that which is good; that sin by the commandment might become exceeding sinful.

영문법 분석:

  • Was then that which is good made death unto me?: 그렇다면 선한 것이 나에게 죽음을 가져다주었는가?라는 의미로, 질문을 통해 논의를 이어갑니다.
  • God forbid.: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라는 의미로, 강한 부정의 표현입니다.
  • But sin, that it might appear sin: "that it might appear sin"은 죄가 죄로 드러나게 하기 위해서라는 의미로, 목적을 나타냅니다.
  • working death in me by that which is good: "working death in me"는 내 안에서 죽음을 일으키다라는 의미입니다. "by that which is good"은 선한 것을 통해, 즉 율법을 통해라는 의미입니다.
  • that sin by the commandment might become exceeding sinful: "exceeding sinful"은 극도로 죄악된, 매우 죄악된이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선한 율법이 자신에게 죽음을 가져다주었느냐는 질문에 대해 단호하게 부정하며, 죄가 율법을 통해 더욱 죄악되게 드러나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합니다. 이는 율법이 죄를 드러내고 죄의 심각성을 깨닫게 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로마서 7장 14절 해설

영어 구절: For we know that the law is spiritual: but I am carnal, sold under sin.

영문법 분석:

  • For we know that the law is spiritual: "spiritual"은 영적인, 신령한이라는 의미입니다.
  • but I am carnal, sold under sin: "carnal"은 육적인, 육체적인이라는 의미입니다. "sold under sin"은 죄 아래 팔린, 죄의 노예가 된이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율법은 영적인 것이지만 자신은 육적이며 죄 아래 팔렸다고 고백합니다. 이는 율법의 완벽함과 인간의 불완전함 사이의 간극을 보여줍니다. 율법은 우리의 죄를 드러내지만, 우리를 죄에서 구원할 수는 없습니다.

결론

로마서 7장 1절부터 14절까지의 말씀을 통해 우리는 율법, 죄, 그리고 그리스도인의 삶에서의 갈등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율법은 우리에게 죄가 무엇인지 알려주고, 죄의 심각성을 깨닫게 하지만, 우리를 죄에서 구원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오직 그리스도를 통해 율법의 정죄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영어 성경을 꾸준히 공부하고 묵상하며, 더욱 깊은 신앙적 성장을 이루시기를 바랍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