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오늘 우리는 영어 성경, 특히 킹 제임스 버전(KJV)의 로마서 6장 1절부터 14절까지를 깊이 있게 탐구해 볼 것입니다. 이 구절은 기독교 신앙의 핵심 교리인 죄와 은혜,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서의 새로운 삶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단순히 성경 구절을 해석하는 것을 넘어, 영어 문법을 분석하고 신앙적 의미를 되새기며, 더욱 풍성한 이해를 얻도록 돕겠습니다.
로마서 6장 1절 해설
영어 구절: What shall we say then? Shall we continue in sin, that grace may abound?
문법 해설:
- What shall we say then?: "그러면 우리가 무엇이라고 말해야 할까요?" 라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shall’은 미래 시제를 나타내는 조동사로, ‘we’와 함께 사용되어 제안이나 의지를 나타냅니다. ‘then’은 문맥상 ‘그러면’ 또는 ‘그렇다면’으로 해석됩니다.
- Shall we continue in sin?: "우리가 죄 가운데 머물러야 할까요?" 라는 질문입니다. ‘continue in’은 ‘~에 머무르다, ~을 계속하다’라는 의미의 구동사입니다. ‘sin’은 ‘죄’를 의미합니다.
- that grace may abound?: "은혜가 더욱 풍성하게 넘치도록 말인가요?" 라는 의미입니다. ‘that’은 목적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하도록’으로 해석됩니다. ‘grace’는 ‘은혜’를 의미하고, ‘abound’는 ‘풍성하다, 넘치다’라는 동사입니다. ‘may’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로마서 앞부분에서 은혜로 말미암은 구원을 강조했습니다. 그러자 몇몇 사람들이 "그렇다면 은혜를 더 받기 위해 죄를 더 지어도 되는가?"라는 오해를 할 수 있었습니다. 1절은 바로 이러한 오해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죄를 지을수록 은혜가 많아진다는 생각은 복음을 완전히 왜곡하는 것입니다. 참된 믿음은 죄를 멀리하고 하나님을 따르는 삶으로 이어져야 합니다.
로마서 6장 2절 해설
영어 구절: God forbid. How shall we, that are dead to sin, live any longer therein?
문법 해설:
- God forbid.: "결코 그럴 수 없습니다!" 또는 "하나님은 그런 일을 막으실 것입니다!"라는 강한 부정의 표현입니다.
- How shall we, that are dead to sin, live any longer therein?: "죄에 대하여 죽은 우리가 어떻게 여전히 죄 가운데 살 수 있겠습니까?" 라는 의미입니다. ‘How shall we’는 강한 반문을 나타냅니다. ‘that are dead to sin’은 ‘죄에 대하여 죽은’이라는 관계대명사절로, ‘we’를 수식합니다. ‘be dead to’는 ‘~에 대하여 죽다’라는 의미입니다. ‘any longer’는 ‘더 이상’이라는 의미이고, ‘therein’은 ‘그 안에서’, 즉 ‘죄 안에서’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결코 그럴 수 없다"라며 단호하게 답합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세례를 통해 죄에 대해 죽고 그리스도와 함께 새로운 삶을 시작했습니다. 죄에 대해 죽었다는 것은 죄의 지배에서 벗어났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죄에 대해 죽은 우리가 다시 죄 가운데 산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히 새로운 정체성을 갖게 되었음을 강조합니다.
로마서 6장 3절 해설
영어 구절: Know ye not, that so many of us as were baptized into Jesus Christ were baptized into his death?
문법 해설:
- Know ye not?: "여러분은 알지 못합니까?" 라는 질문입니다. ‘ye’는 고어체 영어에서 ‘you’를 의미합니다.
- that so many of us as were baptized into Jesus Christ were baptized into his death?: "우리 가운데 예수 그리스도 안으로 세례를 받은 사람은 모두 그의 죽음 안으로 세례를 받았다는 것을 말입니다." 라는 의미입니다. ‘so many of us as were baptized into Jesus Christ’는 ‘예수 그리스도 안으로 세례를 받은 우리들’이라는 의미입니다. ‘be baptized into’는 ‘~안으로 세례를 받다’라는 의미입니다. ‘his death’는 ‘그의 죽음’, 즉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의미합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세례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세례는 단순히 물에 잠기는 의식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에 연합하는 상징적인 행위입니다. 예수 그리스도 안으로 세례를 받는다는 것은 그의 죽음에 참여하고, 죄에 대해 죽고, 새로운 생명으로 다시 태어난다는 의미입니다. 세례는 우리의 옛 자아가 죽고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피조물이 되었음을 선포하는 것입니다.
로마서 6장 4절 해설
영어 구절: Therefore we are buried with him by baptism into death: that like as Christ was raised up from the dead by the glory of the Father, even so we also should walk in newness of life.
문법 해설:
- Therefore we are buried with him by baptism into death: "그러므로 우리는 세례를 통해 그의 죽음과 함께 묻혔습니다." 라는 의미입니다. ‘Therefore’는 ‘그러므로’라는 접속사입니다. ‘be buried with’는 ‘~와 함께 묻히다’라는 의미입니다.
- that like as Christ was raised up from the dead by the glory of the Father: "이는 그리스도께서 아버지의 영광으로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신 것과 같이" 라는 의미입니다. ‘like as’는 ‘~와 같이’라는 비교 표현입니다. ‘be raised up from the dead’는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다’라는 의미입니다. ‘by the glory of the Father’는 ‘아버지의 영광으로’라는 의미입니다.
- even so we also should walk in newness of life.: "우리도 또한 새로운 생명 가운데서 행해야 합니다." 라는 의미입니다. ‘even so’는 ‘마찬가지로’라는 의미입니다. ‘walk in newness of life’는 ‘새로운 생명 가운데서 행하다’라는 의미입니다. ‘should’는 당위성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해야 한다’로 해석됩니다.
신앙적 의미:
세례는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에 참여하는 것을 상징합니다. 물에 잠기는 것은 옛 자아가 죽는 것을, 물에서 나오는 것은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생명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스도께서 아버지의 영광으로 죽음에서 부활하신 것처럼, 우리도 세례를 통해 새로운 생명으로 다시 태어나 새로운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이것은 단지 의식적인 행위가 아니라, 삶의 변화를 요구하는 중요한 결단입니다.
로마서 6장 5절 해설
영어 구절: For if we have been planted together in the likeness of his death, we shall be also in the likeness of his resurrection:
문법 해설:
- For if we have been planted together in the likeness of his death: "만일 우리가 그의 죽으심과 같은 모양으로 연합되었다면" 이라는 의미입니다. ‘For’는 ‘왜냐하면’이라는 접속사입니다. ‘be planted together’는 ‘함께 심기다, 연합되다’라는 의미입니다. ‘in the likeness of’는 ‘~와 같은 모양으로’라는 의미입니다.
- we shall be also in the likeness of his resurrection: "우리는 또한 그의 부활과 같은 모양으로 연합될 것입니다." 라는 의미입니다. ‘shall be’는 미래 시제를 나타내는 조동사로, ‘will be’와 유사한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우리가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에 연합되었다고 말합니다. ‘심기다’라는 표현은 씨앗이 땅에 심겨 싹을 틔우는 과정을 연상시킵니다. 우리가 그리스도의 죽음에 연합되었다면, 그의 부활에도 연합될 것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현재 죄에 대해 죽었을 뿐만 아니라, 미래에 영원한 생명을 얻을 것이라는 소망을 제시합니다.
로마서 6장 6절 해설
영어 구절: Knowing this, that our old man is crucified with him, that the body of sin might be destroyed, that henceforth we should not serve sin.
문법 해설:
- Knowing this, that our old man is crucified with him: "이것을 아십시오. 우리의 옛 사람이 그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다는 것을 말입니다." 라는 의미입니다. ‘Knowing this’는 분사구문으로, ‘이것을 알면서’라고 해석됩니다. ‘our old man’은 ‘우리의 옛 사람’, 즉 죄된 본성을 의미합니다. ‘be crucified with’는 ‘~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히다’라는 의미입니다.
- that the body of sin might be destroyed: "이는 죄의 몸이 멸망하도록 말입니다." 라는 의미입니다. ‘the body of sin’은 ‘죄의 몸’, 즉 죄를 짓도록 이끄는 육체를 의미합니다. ‘might be destroyed’는 ‘멸망될 수 있다’라는 의미입니다.
- that henceforth we should not serve sin.: "이제부터 우리는 죄를 섬기지 않도록 말입니다." 라는 의미입니다. ‘henceforth’는 ‘이제부터’라는 의미입니다. ‘serve sin’은 ‘죄를 섬기다’라는 의미입니다. ‘should’는 당위성을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신앙적 의미:
우리의 옛 사람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더 이상 죄의 지배를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죄의 몸이 멸망했다는 것은 죄를 짓도록 이끄는 육체의 힘이 약화되었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더 이상 죄를 섬기지 않고 하나님을 섬기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로마서 6장 7절 해설
영어 구절: For he that is dead is freed from sin.
문법 해설:
- For he that is dead is freed from sin.: "이는 죽은 자는 죄에서 벗어났기 때문입니다." 라는 의미입니다. ‘he that is dead’는 ‘죽은 자’를 의미하는 관계대명사절입니다. ‘be freed from’은 ‘~에서 벗어나다, ~에서 자유로워지다’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죽은 자는 죄의 권세에서 벗어납니다. 우리가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다면, 죄의 지배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졌습니다. 이것은 죄의 형벌로부터의 자유뿐만 아니라, 죄의 영향력으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합니다. 우리는 더 이상 죄에 얽매이지 않고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삶을 살 수 있습니다.
로마서 6장 8절 해설
영어 구절: Now if we be dead with Christ, we believe that we shall also live with him:
문법 해설:
- Now if we be dead with Christ: "만일 우리가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다면" 이라는 의미입니다. ‘be dead with’는 ‘~와 함께 죽다’라는 의미입니다.
- we believe that we shall also live with him: "우리는 또한 그와 함께 살 것을 믿습니다." 라는 의미입니다. ‘shall live with’는 ‘~와 함께 살 것이다’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우리가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다면, 우리는 또한 그와 함께 살 것을 믿습니다. 이것은 그리스도인의 소망을 보여줍니다. 우리는 현재 죄에 대해 죽었을 뿐만 아니라, 미래에 영원한 생명을 얻을 것입니다. 그리스도와 함께 사는 것은 영원한 기쁨과 평화를 누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로마서 6장 9절 해설
영어 구절: Knowing that Christ being raised from the dead dieth no more; death hath no more dominion over him.
문법 해설:
- Knowing that Christ being raised from the dead dieth no more: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셨으므로 다시 죽지 않으신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라는 의미입니다. ‘Knowing that’은 분사구문으로, ‘그것을 알기 때문에’라고 해석됩니다. ‘be raised from the dead’는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다’라는 의미입니다. ‘dieth no more’는 ‘더 이상 죽지 않는다’라는 의미입니다.
- death hath no more dominion over him.: "사망이 더 이상 그를 지배하지 못합니다." 라는 의미입니다. ‘hath’는 고어체 영어에서 ‘has’를 의미합니다. ‘dominion over’는 ‘~에 대한 지배, ~에 대한 권세’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그리스도께서는 죽음에서 부활하셨고, 다시는 죽지 않으십니다. 사망은 더 이상 그를 지배하지 못합니다. 이것은 그리스도의 부활이 영원한 승리임을 보여줍니다. 우리의 믿음은 헛되지 않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죽음을 이기셨듯이, 우리도 그리스도 안에서 죽음을 이기고 영원한 생명을 얻을 것입니다.
로마서 6장 10절 해설
영어 구절: For in that he died, he died unto sin once: but in that he liveth, he liveth unto God.
문법 해설:
- For in that he died, he died unto sin once: "그가 죽으심은 죄에 대하여 단번에 죽으신 것이고" 라는 의미입니다. ‘in that’은 ‘~함에 있어서’라는 의미입니다. ‘die unto sin’은 ‘죄에 대하여 죽다’라는 의미입니다. ‘once’는 ‘단번에, 한 번에’라는 의미입니다.
- but in that he liveth, he liveth unto God.: "그가 살아 계심은 하나님께 대하여 살아 계신 것입니다." 라는 의미입니다. ‘live unto God’는 ‘하나님께 대하여 살다’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그리스도께서는 죄에 대하여 단번에 죽으셨습니다. 이것은 그의 죽음이 모든 죄를 위한 완전한 희생이었음을 의미합니다. 그는 더 이상 죄의 지배를 받지 않으십니다. 그는 하나님께 대하여 살아 계시며, 우리를 위해 중보하십니다.
로마서 6장 11절 해설
영어 구절: Likewise reckon ye also yourselves to be dead indeed unto sin, but alive unto God through Jesus Christ our Lord.
문법 해설:
- Likewise reckon ye also yourselves to be dead indeed unto sin: "이와 같이 여러분도 여러분 자신을 죄에 대하여는 죽은 자로 여기고" 라는 의미입니다. ‘Likewise’는 ‘이와 같이’라는 의미입니다. ‘reckon yourselves to be’는 ‘여러분 자신을 ~로 여기다’라는 의미입니다. ‘dead indeed unto sin’은 ‘진실로 죄에 대하여 죽은’이라는 의미입니다.
- but alive unto God through Jesus Christ our Lord.: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를 통하여 하나님께 대하여는 살아 있는 자로 여기십시오." 라는 의미입니다. ‘alive unto God’는 ‘하나님께 대하여 살아 있는’이라는 의미입니다. ‘through Jesus Christ our Lord’는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를 통하여’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우리에게도 그리스도와 같이 죄에 대하여는 죽고 하나님께 대하여는 살아 있는 자로 여기라고 권면합니다. 이것은 단순히 생각하는 것뿐만 아니라, 삶의 태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죄를 멀리하고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과 화목하고 영원한 생명을 얻을 수 있습니다.
로마서 6장 12절 해설
영어 구절: Let not sin therefore reign in your mortal body, that ye should obey it in the lusts thereof.
문법 해설:
- Let not sin therefore reign in your mortal body: "그러므로 죄가 여러분의 죽을 몸을 지배하지 못하게 하십시오." 라는 의미입니다. ‘Let not’은 금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하지 않게 하십시오’라고 해석됩니다. ‘reign in’은 ‘~을 지배하다, ~을 통치하다’라는 의미입니다. ‘mortal body’는 ‘죽을 몸’, 즉 유한한 육체를 의미합니다.
- that ye should obey it in the lusts thereof.: "이는 여러분이 그 정욕에 순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라는 의미입니다. ‘obey it in the lusts thereof’는 ‘그 정욕에 순종하다’라는 의미입니다. ‘lusts’는 ‘정욕, 욕망’을 의미합니다.
신앙적 의미:
죄는 여전히 우리의 육체를 통해 우리를 유혹하려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죄가 우리의 몸을 지배하지 못하도록 경계해야 합니다. 죄의 정욕에 순종하지 않고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살아야 합니다. 이것은 끊임없는 자기 훈련과 영적인 싸움을 요구합니다.
로마서 6장 13절 해설
영어 구절: Neither yield ye your members as instruments of unrighteousness unto sin: but yield yourselves unto God, as those that are alive from the dead, and your members as instruments of righteousness unto God.
문법 해설:
- Neither yield ye your members as instruments of unrighteousness unto sin: "여러분의 지체를 불의의 도구로 죄에게 내주지 마십시오." 라는 의미입니다. ‘Neither’는 ‘또한 ~ 않다’라는 의미입니다. ‘yield your members’는 ‘여러분의 지체를 내주다, 바치다’라는 의미입니다. ‘instruments of unrighteousness’는 ‘불의의 도구’를 의미합니다.
- but yield yourselves unto God, as those that are alive from the dead: "오직 여러분 자신을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난 사람처럼 하나님께 내주십시오." 라는 의미입니다. ‘yield yourselves unto God’는 ‘여러분 자신을 하나님께 내주다, 바치다’라는 의미입니다. ‘as those that are alive from the dead’는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난 사람처럼’이라는 의미입니다.
- and your members as instruments of righteousness unto God.: "여러분의 지체를 의의 도구로 하나님께 내주십시오." 라는 의미입니다. ‘instruments of righteousness’는 ‘의의 도구’를 의미합니다.
신앙적 의미:
우리는 우리의 몸을 죄의 도구로 사용하지 않고, 의의 도구로 하나님께 드려야 합니다. 우리의 손, 발, 입, 생각 등 모든 지체를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사용해야 합니다. 이것은 우리가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을 섬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로마서 6장 14절 해설
영어 구절: For sin shall not have dominion over you: for ye are not under the law, but under grace.
문법 해설:
- For sin shall not have dominion over you: "죄가 여러분을 지배하지 못할 것입니다." 라는 의미입니다. ‘shall not have dominion over’는 ‘~을 지배하지 못할 것이다’라는 의미입니다.
- for ye are not under the law, but under grace.: "이는 여러분이 율법 아래 있지 않고 은혜 아래 있기 때문입니다." 라는 의미입니다. ‘under the law’는 ‘율법 아래’라는 의미이고, ‘under grace’는 ‘은혜 아래’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죄가 우리를 지배하지 못하는 이유는 우리가 율법 아래 있지 않고 은혜 아래 있기 때문입니다. 율법은 죄를 깨닫게 하지만, 죄를 이길 힘을 주지 못합니다. 그러나 은혜는 죄를 용서하고 죄를 이길 힘을 줍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로 죄의 권세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살 수 있습니다.
결론
로마서 6장 1절부터 14절은 죄와 은혜,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서의 새로운 삶에 대한 심오한 진리를 담고 있습니다. 우리는 세례를 통해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에 연합되었고, 죄에 대해 죽고 하나님께 대해 살아 있는 자가 되었습니다. 더 이상 죄의 지배를 받지 않고, 하나님의 은혜로 의의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우리의 몸을 죄의 도구로 사용하지 않고, 의의 도구로 하나님께 드려야 합니다. 이 말씀을 기억하며, 매일의 삶에서 승리하는 그리스도인이 되기를 소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