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보관물: admin

영어 성경 해설: 로마서 1장 18절~32절 (KJV)

서론

오늘 우리는 영어 성경, 특히 킹 제임스 버전(KJV)의 로마서 1장 18절부터 32절까지를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이 부분은 하나님의 진노, 인간의 죄악,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영문법을 자세히 분석하고, 각 구절의 신앙적 의미를 탐구하여 여러분의 영어 실력 향상과 영적 성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1. 로마서 1장 18절 (Romans 1:18)

KJV: “For the wrath of God is revealed from heaven against all ungodliness and unrighteousness of men, who hold the truth in unrighteousness;”

영문법 해설:

  • For: 접속사로, 뒤에 나오는 내용의 이유나 근거를 설명합니다. 여기서는 왜 바울이 복음을 전해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이유를 제시합니다.
  • the wrath of God: 하나님의 진노. ‘wrath’는 명사로 ‘분노, 진노’를 의미합니다. ‘of God’은 소유격으로, 진노의 주체가 하나님임을 나타냅니다.
  • is revealed: 수동태 동사구로, 하나님의 진노가 ‘드러난다’는 의미입니다. ‘reveal’은 ‘드러내다, 폭로하다’라는 뜻을 가집니다. 현재 시제(is)를 사용하여 하나님의 진노가 현재에도 계속 드러나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 from heaven: ‘하늘로부터’라는 부사구로, 진노의 근원이 하늘에 있음을 나타냅니다.
  • against: 전치사로, ‘~에 대항하여, ~에 반하여’라는 의미입니다. 하나님의 진노가 향하는 대상을 나타냅니다.
  • all ungodliness and unrighteousness of men: 모든 경건치 않음과 불의. ‘ungodliness’는 ‘불경건함’, ‘unrighteousness’는 ‘불의함’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of men’은 ‘사람들의’라는 소유격으로, 불경건함과 불의함의 주체가 사람임을 나타냅니다.
  • who hold the truth in unrighteousness: 진리를 불의로 막는 사람들. ‘who’는 관계대명사로, 앞의 ‘men’을 수식합니다. ‘hold the truth’는 ‘진리를 붙잡다, 진리를 억누르다’라는 의미이며, ‘in unrighteousness’는 ‘불의로써’라는 부사구로, 진리를 막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신앙적 의미:

이 구절은 하나님의 진노가 불경건과 불의에 대항하여 드러난다고 선언합니다. 이는 인간이 진리를 알면서도 불의로 그것을 억누를 때 하나님의 심판을 피할 수 없음을 보여줍니다. 하나님의 진노는 단순히 감정적인 분노가 아니라, 죄에 대한 하나님의 공정한 반응입니다. 인간은 진리를 깨닫고도 죄를 선택함으로써 하나님의 진노를 자초합니다.

2. 로마서 1장 19절 (Romans 1:19)

KJV: “Because that which may be known of God is manifest in them; for God hath shewed it unto them.”

영문법 해설:

  • Because: 접속사로, 앞 문장의 이유를 설명합니다. 왜 하나님의 진노가 드러나는지에 대한 이유를 제시합니다.
  • that which may be known of God: 하나님에 대해 알 수 있는 것. ‘that which’는 관계대명사절로, ‘~하는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may be known’은 수동태 조동사구로, ‘알려질 수 있다’라는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of God’은 ‘하나님에 의해’라는 의미입니다.
  • is manifest in them: 그들 안에 나타나 있다. ‘manifest’는 형용사로, ‘명백한, 분명한’이라는 의미입니다. 여기서는 동사처럼 사용되어 ‘나타나다, 드러나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in them’은 ‘그들 안에’라는 부사구로, 하나님에 대해 알 수 있는 것이 어디에 나타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 for: 접속사로, 앞 문장의 이유를 다시 한번 설명합니다. ‘Because’와 유사한 역할을 합니다.
  • God hath shewed it unto them: 하나님께서 그것을 그들에게 보여주셨다. ‘hath shewed’는 고어적인 표현으로, 현재완료 시제(has shown)와 같습니다. ‘shew’는 ‘show’의 고어이며, ‘보여주다’라는 의미입니다. ‘it’은 앞의 ‘that which may be known of God’을 가리킵니다. ‘unto them’은 ‘to them’의 고어입니다.

신앙적 의미:

이 구절은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자신을 알 수 있는 충분한 계시를 주셨음을 강조합니다. 자연과 양심을 통해 하나님을 알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그것을 외면하고 죄를 선택합니다. 하나님은 인간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신 것입니다.

3. 로마서 1장 20절 (Romans 1:20)

KJV: “For the invisible things of him from the creation of the world are clearly seen, being understood by the things that are made, even his eternal power and Godhead; so that they are without excuse:”

영문법 해설:

  • For: 접속사로, 앞 문장의 이유를 설명합니다. 왜 하나님께서 자신을 보여주셨는지에 대한 이유를 제시합니다.
  • the invisible things of him: 그분의 보이지 않는 것들. ‘invisible’은 형용사로, ‘보이지 않는’이라는 의미입니다. ‘things’는 명사로, ‘것들’이라는 의미입니다. ‘of him’은 ‘그분의’라는 소유격으로, 보이지 않는 것들의 주체가 하나님임을 나타냅니다.
  • from the creation of the world: 세상 창조 이후로. ‘creation’은 명사로, ‘창조’라는 의미입니다. ‘of the world’는 ‘세상의’라는 소유격입니다.
  • are clearly seen: 분명히 보인다. ‘clearly’는 부사로, ‘분명하게’라는 의미입니다. ‘seen’은 ‘see’의 과거 분사로, 수동태 동사구입니다.
  • being understood by the things that are made: 만들어진 것들에 의해 이해되면서. ‘being understood’는 분사구문으로, 앞 문장의 내용을 부가적으로 설명합니다. ‘understood’는 ‘understand’의 과거 분사입니다. ‘by the things that are made’는 ‘만들어진 것들에 의해’라는 부사구로, 이해의 수단을 나타냅니다. ‘that are made’는 관계대명사절로, ‘things’를 수식합니다.
  • even his eternal power and Godhead: 곧 그의 영원한 능력과 신성. ‘even’은 부사로, ‘곧, 심지어’라는 의미입니다. ‘eternal power’는 ‘영원한 능력’을 의미하며, ‘Godhead’는 ‘신성’을 의미합니다.
  • so that they are without excuse: 그러므로 그들은 변명할 수 없다. ‘so that’은 접속사로, ‘그러므로, ~하기 위하여’라는 의미입니다. ‘without excuse’는 ‘변명 없이’라는 부사구입니다.

신앙적 의미:

이 구절은 창조 세계를 통해 하나님의 능력과 신성을 분명히 알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인간은 자연을 관찰하고 이해함으로써 하나님의 존재와 속성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을 인정하지 않고 죄를 짓는 것은 변명의 여지가 없는 행동입니다.

4. 로마서 1장 21절 (Romans 1:21)

KJV: “Because that, when they knew God, they glorified him not as God, neither were thankful; but became vain in their imaginations, and their foolish heart was darkened.”

영문법 해설:

  • Because that: 앞 문장의 이유를 설명하는 접속사구. ‘Because’와 유사한 의미를 가집니다.
  • when they knew God: 그들이 하나님을 알았을 때. ‘when’은 접속사로,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끕니다. ‘knew’는 ‘know’의 과거형입니다.
  • they glorified him not as God: 그들은 하나님을 하나님으로 영화롭게 하지 않았다. ‘glorified’는 ‘glorify’의 과거형으로, ‘영화롭게 하다, 찬양하다’라는 의미입니다. ‘not as God’은 ‘하나님으로서가 아니라’라는 부사구입니다.
  • neither were thankful: 감사하지도 않았다. ‘neither’는 부사로, ‘또한 ~아니다’라는 의미입니다. ‘were thankful’은 ‘감사했다’라는 의미입니다.
  • but became vain in their imaginations: 오히려 그들의 상상 속에서 헛되게 되었다. ‘but’은 접속사로, 앞 문장과 대조되는 내용을 나타냅니다. ‘became vain’은 ‘헛되게 되었다’라는 의미입니다. ‘in their imaginations’는 ‘그들의 상상 속에서’라는 부사구입니다.
  • and their foolish heart was darkened: 그리고 그들의 어리석은 마음이 어두워졌다. ‘foolish’는 형용사로, ‘어리석은’이라는 의미입니다. ‘heart’는 명사로, ‘마음’이라는 의미입니다. ‘was darkened’는 수동태 동사구로, ‘어두워졌다’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이 구절은 인간이 하나님을 알면서도 그분을 영화롭게 하지 않고 감사하지 않았음을 지적합니다. 오히려 헛된 상상에 빠지고 마음이 어두워지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이는 인간의 죄성이 하나님과의 관계를 왜곡시키고 파괴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5. 로마서 1장 22절 (Romans 1:22)

KJV: “Professing themselves to be wise, they became fools,”

영문법 해설:

  • Professing themselves to be wise: 스스로 지혜롭다고 주장하면서. ‘Professing’은 분사구문으로, 앞 문장의 내용을 부가적으로 설명합니다. ‘Profess’는 ‘주장하다, 공언하다’라는 의미입니다. ‘themselves to be wise’는 ‘스스로 지혜롭다고’라는 목적보어구입니다.
  • they became fools: 그들은 어리석게 되었다. ‘became fools’는 ‘어리석게 되었다’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이 구절은 인간이 스스로 지혜롭다고 주장하지만, 하나님을 떠남으로써 오히려 어리석게 된다는 역설적인 상황을 보여줍니다. 인간의 지혜는 하나님을 경외하는 데서 비롯되어야 하지만, 교만은 참된 지혜를 가로막습니다.

6. 로마서 1장 23절 (Romans 1:23)

KJV: “And changed the glory of the uncorruptible God into an image made like to corruptible man, and to birds, and fourfooted beasts, and creeping things.”

영문법 해설:

  • And changed the glory of the uncorruptible God: 그리고 썩지 아니할 하나님의 영광을 바꾸어. ‘changed’는 ‘change’의 과거형으로, ‘바꾸다, 변형시키다’라는 의미입니다. ‘the glory of the uncorruptible God’은 ‘썩지 아니할 하나님의 영광’을 의미합니다. ‘uncorruptible’은 형용사로, ‘썩지 않는, 불멸의’라는 의미입니다.
  • into an image made like to corruptible man: 썩어질 사람의 모양과 같은 형상으로. ‘into’는 전치사로, ‘~로’라는 변화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an image made’는 ‘만들어진 형상’을 의미합니다. ‘made like to corruptible man’은 ‘썩어질 사람의 모양과 같이 만들어진’이라는 형용사구입니다. ‘corruptible’은 형용사로, ‘썩어질, 부패하기 쉬운’이라는 의미입니다.
  • and to birds, and fourfooted beasts, and creeping things: 새와 네 발 달린 짐승과 기어 다니는 것으로. ‘birds’는 ‘새들’, ‘fourfooted beasts’는 ‘네 발 달린 짐승들’, ‘creeping things’는 ‘기어 다니는 것들’을 의미합니다.

신앙적 의미:

이 구절은 인간이 하나님의 영광을 훼손하고, 썩어질 피조물의 형상으로 대체하는 우상숭배의 죄를 지적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존엄성을 모독하고, 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를 왜곡하는 행위입니다.

7. 로마서 1장 24절 (Romans 1:24)

KJV: “Wherefore God also gave them up to uncleanness through the lusts of their own hearts, to dishonour their own bodies between themselves:”

영문법 해설:

  • Wherefore: 그러므로. 접속부사로, 앞 문장의 결과로 이어지는 내용을 나타냅니다.
  • God also gave them up: 하나님께서 또한 그들을 내어 버려두셨다. ‘gave them up’은 ‘give up’의 과거형으로, ‘포기하다, 내버려두다’라는 의미입니다.
  • to uncleanness through the lusts of their own hearts: 그들 마음의 정욕대로 더러움에. ‘to uncleanness’는 ‘더러움에’라는 부사구입니다. ‘through the lusts of their own hearts’는 ‘그들 마음의 정욕을 통해’라는 부사구로, 더러움에 빠지게 된 원인을 설명합니다. ‘lusts’는 명사로, ‘정욕, 욕망’을 의미합니다.
  • to dishonour their own bodies between themselves: 그들끼리 서로 자기 몸을 욕되게 하도록. ‘to dishonour’는 ‘욕되게 하도록’이라는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의 to 부정사입니다. ‘dishonour’는 동사로, ‘욕되게 하다, 불명예스럽게 하다’라는 의미입니다. ‘between themselves’는 ‘그들끼리’라는 부사구입니다.

신앙적 의미:

이 구절은 하나님께서 인간을 죄의 결과에 내버려두심으로써 그들의 죄악이 더욱 심화되도록 허락하셨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하나님의 심판의 한 형태이며, 인간이 죄를 선택한 결과로 스스로를 파멸시키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8. 로마서 1장 25절 (Romans 1:25)

KJV: “Who changed the truth of God into a lie, and worshipped and served the creature more than the Creator, who is blessed for ever. Amen.”

영문법 해설:

  • Who changed the truth of God into a lie: 그들은 하나님의 진리를 거짓으로 바꾸고. ‘who’는 관계대명사로, 앞의 ‘them’을 수식합니다. ‘changed the truth of God into a lie’는 ‘하나님의 진리를 거짓으로 바꾸다’라는 의미입니다.
  • and worshipped and served the creature more than the Creator: 창조주보다 피조물을 더 경배하고 섬겼다. ‘worshipped’는 ‘worship’의 과거형으로, ‘경배하다’라는 의미입니다. ‘served’는 ‘serve’의 과거형으로, ‘섬기다’라는 의미입니다. ‘the creature’는 ‘피조물’, ‘the Creator’는 ‘창조주’를 의미합니다. ‘more than’은 ‘~보다 더’라는 비교급 표현입니다.
  • who is blessed for ever. Amen: 영원히 찬송 받으실 이시로다. 아멘. ‘who’는 관계대명사로, 앞의 ‘the Creator’를 수식합니다. ‘is blessed for ever’는 ‘영원히 찬송 받으실’이라는 의미입니다. ‘Amen’은 ‘아멘’이라는 감탄사로, ‘진실로’, ‘그렇게 되기를 바랍니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신앙적 의미:

이 구절은 인간이 하나님의 진리를 거부하고 거짓을 따르며, 창조주 대신 피조물을 숭배하는 우상숭배의 심각성을 강조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주권을 부정하고, 피조물에 잘못된 가치를 부여하는 죄악입니다.

9. 로마서 1장 26절 (Romans 1:26)

KJV: “For this cause God gave them up unto vile affections: for even their women did change the natural use into that which is against nature:”

영문법 해설:

  • For this cause: 이러한 이유로. 접속부사구로, 앞 문장의 결과로 이어지는 내용을 나타냅니다.
  • God gave them up unto vile affections: 하나님께서 그들을 부끄러운 욕심에 내버려두셨다. ‘gave them up unto vile affections’는 ‘그들을 부끄러운 욕심에 내버려두다’라는 의미입니다. ‘vile affections’는 ‘부끄러운 욕심, 비열한 정욕’을 의미합니다. ‘vile’은 형용사로, ‘비열한, 추악한’이라는 의미입니다.
  • for even their women did change the natural use: 심지어 그들의 여자들까지도 본래의 용도를 바꾸어. ‘even’은 부사로, ‘심지어’라는 의미입니다. ‘did change’는 동사 강조 용법으로, ‘정말로 바꾸었다’라는 의미입니다. ‘the natural use’는 ‘본래의 용도, 자연스러운 사용’을 의미합니다.
  • into that which is against nature: 본성에 거스르는 것으로. ‘into that which is against nature’는 ‘본성에 거스르는 것으로’라는 의미입니다. ‘against nature’는 ‘본성에 거스르는’이라는 형용사구입니다.

신앙적 의미:

이 구절은 동성애를 포함한 비정상적인 성적 행위를 언급하며, 이는 하나님의 창조 질서에 대한 반역임을 지적합니다.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부여하신 성의 목적을 왜곡하고, 자연스러운 관계를 거부하는 것은 죄악입니다.

10. 로마서 1장 27절 (Romans 1:27)

KJV: “And likewise also the men, leaving the natural use of the woman, burned in their lust one toward another; men with men working that which is unseemly, and receiving in themselves that recompence of their error which was meet.”

영문법 해설:

  • And likewise also the men: 이와 같이 남자들도. ‘likewise’는 부사로, ‘이와 같이, 마찬가지로’라는 의미입니다.
  • leaving the natural use of the woman: 여자의 본래 용도를 버리고. ‘leaving’은 분사구문으로, 앞 문장의 내용을 부가적으로 설명합니다. ‘the natural use of the woman’은 ‘여자의 본래 용도, 여자와의 자연스러운 관계’를 의미합니다.
  • burned in their lust one toward another: 서로를 향하여 욕정으로 불탔다. ‘burned’는 ‘burn’의 과거형으로, ‘불타다’라는 의미입니다. ‘in their lust’는 ‘그들의 욕정으로’라는 부사구입니다. ‘one toward another’는 ‘서로를 향하여’라는 부사구입니다.
  • men with men working that which is unseemly: 남자들이 남자와 더불어 부끄러운 일을 행하여. ‘working that which is unseemly’는 ‘부끄러운 일을 행하다’라는 의미입니다. ‘unseemly’는 형용사로, ‘부끄러운, 합당하지 않은’이라는 의미입니다.
  • and receiving in themselves that recompence of their error which was meet: 그들의 잘못에 대한 합당한 보응을 그들 스스로 받았느니라. ‘receiving’은 분사구문으로, 앞 문장의 내용을 부가적으로 설명합니다. ‘that recompence of their error’는 ‘그들의 잘못에 대한 보응’을 의미합니다. ‘recompence’는 명사로, ‘보응, 보상’이라는 의미입니다. ‘which was meet’는 관계대명사절로, ‘recompence’를 수식합니다. ‘meet’는 형용사로, ‘합당한, 적절한’이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이 구절은 남자 동성애를 언급하며, 이는 자연 질서에 대한 반역이며 죄의 결과임을 강조합니다. 하나님은 인간이 죄를 선택한 결과에 대한 합당한 보응을 내리십니다.

11. 로마서 1장 28절 (Romans 1:28)

KJV: “And even as they did not like to retain God in their knowledge, God gave them over to a reprobate mind, to do those things which are not convenient;”

영문법 해설:

  • And even as they did not like to retain God in their knowledge: 또한 그들이 마음에 하나님 두기를 싫어하매. ‘even as’는 접속사로, ‘마치 ~처럼’이라는 의미입니다. ‘did not like to retain’은 ‘보유하기를 싫어했다’라는 의미입니다. ‘retain’은 동사로, ‘보유하다, 유지하다’라는 의미입니다. ‘God in their knowledge’는 ‘그들의 지식 안에 하나님을’이라는 의미입니다.
  • God gave them over to a reprobate mind: 하나님께서 그들을 버리시어 합당하지 못한 마음[타락한 마음]에 내버려두셨다. ‘gave them over to a reprobate mind’는 ‘그들을 타락한 마음에 내버려두다’라는 의미입니다. ‘reprobate mind’는 ‘타락한 마음, 버림받은 마음’을 의미합니다. ‘reprobate’는 형용사로, ‘타락한, 버림받은’이라는 의미입니다.
  • to do those things which are not convenient: 합당하지 못한 일들을 하게 하셨으니. ‘to do those things’는 ‘그 일들을 하도록’이라는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의 to 부정사입니다. ‘which are not convenient’는 관계대명사절로, ‘things’를 수식합니다. ‘convenient’는 형용사로, ‘합당한, 적절한’이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이 구절은 인간이 하나님을 알기를 거부할 때, 하나님께서 그들을 타락한 마음에 내버려두신다는 심판을 선언합니다. 이는 인간이 스스로 죄를 선택한 결과이며, 영적인 파멸로 이어지는 과정입니다.

12. 로마서 1장 29절 (Romans 1:29)

KJV: “Being filled with all unrighteousness, fornication, wickedness, covetousness, maliciousness; full of envy, murder, debate, deceit, malignity; whisperers,”

영문법 해설:

  • Being filled with all unrighteousness, fornication, wickedness, covetousness, maliciousness: 모든 불의, 추악, 탐욕, 악의로 가득 차고. ‘Being filled’는 분사구문으로, 앞 문장의 내용을 부가적으로 설명합니다. ‘unrighteousness’는 ‘불의’, ‘fornication’은 ‘음행’, ‘wickedness’는 ‘악함’, ‘covetousness’는 ‘탐욕’, ‘maliciousness’는 ‘악의’를 의미합니다.
  • full of envy, murder, debate, deceit, malignity; whisperers: 시기, 살인, 분쟁, 사기, 악독이 가득하며 수군거리는 자요. ‘envy’는 ‘시기’, ‘murder’는 ‘살인’, ‘debate’는 ‘분쟁’, ‘deceit’는 ‘사기’, ‘malignity’는 ‘악의’를 의미합니다. ‘whisperers’는 ‘수군거리는 자’를 의미합니다.

신앙적 의미:

이 구절은 죄로 가득 찬 인간의 타락한 본성을 구체적으로 묘사합니다. 이는 인간이 하나님을 떠날 때 얼마나 심각하게 부패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13. 로마서 1장 30절 (Romans 1:30)

KJV: “Backbiters, haters of God, despiteful, proud, boasters, inventors of evil things, disobedient to parents,”

영문법 해설:

  • Backbiters, haters of God, despiteful, proud, boasters: 비방하는 자, 하나님을 미워하는 자, 능욕하는 자, 교만한 자, 자랑하는 자. ‘backbiters’는 ‘비방하는 자’, ‘haters of God’은 ‘하나님을 미워하는 자’, ‘despiteful’은 ‘능욕하는 자’, ‘proud’는 ‘교만한 자’, ‘boasters’는 ‘자랑하는 자’를 의미합니다.
  • inventors of evil things, disobedient to parents: 악을 도모하는 자, 부모를 거역하는 자. ‘inventors of evil things’는 ‘악을 도모하는 자’, ‘disobedient to parents’는 ‘부모를 거역하는 자’를 의미합니다.

신앙적 의미:

이 구절은 죄로 인해 나타나는 다양한 악한 행동들을 열거합니다. 이는 인간 관계의 파괴와 도덕적 타락을 보여주는 구체적인 예시입니다.

14. 로마서 1장 31절 (Romans 1:31)

KJV: “Without understanding, covenantbreakers, without natural affection, implacable, unmerciful:”

영문법 해설:

  • Without understanding, covenantbreakers: 무지한 자, 언약을 어기는 자. ‘without understanding’은 ‘무지한’, ‘covenantbreakers’는 ‘언약을 어기는 자’를 의미합니다.
  • without natural affection, implacable, unmerciful: 무정한 자, 원통함을 풀지 않는 자, 무자비한 자. ‘without natural affection’은 ‘무정한’, ‘implacable’은 ‘원통함을 풀지 않는’, ‘unmerciful’은 ‘무자비한’을 의미합니다.

신앙적 의미:

이 구절은 인간의 이성, 도덕성, 사랑의 결핍을 보여줍니다. 이는 죄가 인간을 얼마나 비인간적으로 만들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비극적인 모습입니다.

15. 로마서 1장 32절 (Romans 1:32)

KJV: “Who knowing the judgment of God, that they which commit such things are worthy of death, not only do the same, but have pleasure in them that do them.”

영문법 해설:

  • Who knowing the judgment of God: 그들이 하나님의 심판을 알고도. ‘knowing’은 분사구문으로, 앞 문장의 내용을 부가적으로 설명합니다. ‘the judgment of God’은 ‘하나님의 심판’을 의미합니다.
  • that they which commit such things are worthy of death: 이러한 일을 행하는 자는 사형에 해당한다고. ‘they which commit such things’는 ‘이러한 일을 행하는 자’를 의미합니다. ‘are worthy of death’는 ‘사형에 해당한다’라는 의미입니다.
  • not only do the same, but have pleasure in them that do them: 자기들만 행할 뿐 아니라 또한 그런 일을 행하는 자들을 옳다고 한다. ‘not only do the same, but’는 ‘~뿐만 아니라 ~도’라는 상관 접속사구입니다. ‘have pleasure in them that do them’은 ‘그런 일을 행하는 자들을 옳다고 여기다’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이 구절은 인간이 하나님의 심판을 알면서도 죄를 짓고, 심지어 다른 사람들이 죄를 짓는 것을 기뻐하는 극단적인 타락을 보여줍니다. 이는 죄의 전염성과 파괴력을 보여주는 경고입니다.

결론

로마서 1장 18절부터 32절은 인간의 죄악과 하나님의 진노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구절들을 통해 인간의 타락한 본성과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또한, 창조 세계와 양심을 통해 하나님을 알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죄를 선택하는 인간의 책임을 인식해야 합니다. 이 말씀을 통해 우리는 죄를 멀리하고 하나님을 경외하며, 의로운 삶을 살아가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