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오늘 우리는 영어 성경, 특히 킹 제임스 버전(KJV)의 로마서 2장 17절부터 29절까지를 심도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이 구절은 유대인과 율법, 그리고 진정한 할례의 의미에 대한 바울의 논쟁을 담고 있습니다. 단순히 성경 구절을 해석하는 것을 넘어, 각 문장의 영문법적 구조를 분석하고, 그 안에 담긴 신앙적 의미를 함께 탐구하며 영어 공부에도 도움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로마서 2장 17절 (Romans 2:17)
KJV: Behold, thou art called a Jew, and restest in the law, and makest thy boast of God,
영문법 해설:
- Behold: 감탄사로, "보라!" 또는 "주목하라!"라는 의미입니다. 문장의 시작에 사용하여 독자의 주의를 끄는 역할을 합니다.
- thou art called a Jew: 여기서 "thou"는 고어체로 "you"를 의미합니다. "art"는 "are"의 고어체 형태로, 주어 "thou"에 맞춰 사용되었습니다. "called"는 수동태 형태로, "너는 유대인이라 불린다"라는 의미입니다.
- and restest in the law: "restest"는 "rest"의 고어체 형태로, "기대다", "안주하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따라서 "율법에 안주한다"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and makest thy boast of God: "makest"는 "make"의 고어체 형태로, "자랑하다"라는 의미입니다. "thy"는 "your"의 고어체 형태로, "너의"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따라서 "하나님을 자랑한다"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유대인들이 자신을 유대인이라고 부르며, 율법에 안주하고, 하나님을 자랑하는 행태를 지적합니다. 이는 단순히 이름뿐인 유대인이 아니라, 진정으로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삶을 살아야 함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율법은 유대인들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중요한 요소였지만, 바울은 율법을 지키는 것 자체가 구원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합니다.
로마서 2장 18절 (Romans 2:18)
KJV: And knowest his will, and approvest the things that are more excellent, being instructed out of the law;
영문법 해설:
- And knowest his will: "knowest"는 "know"의 고어체 형태로, "알다"라는 의미입니다. "his will"은 "그의 뜻" 즉, "하나님의 뜻"을 의미합니다.
- and approvest the things that are more excellent: "approvest"는 "approve"의 고어체 형태로, "인정하다", "승인하다"라는 의미입니다. "the things that are more excellent"는 "더욱 뛰어난 것들" 즉, "더욱 중요한 것들"을 의미하며, 관계대명사 "that"이 사용되어 "things"를 수식합니다.
- being instructed out of the law: "being instructed"는 분사구문으로, "율법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아서"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out of"는 "~로부터"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신앙적 의미:
유대인들은 하나님의 뜻을 알고, 더욱 중요한 것들을 분별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들은 율법을 통해 가르침을 받았기 때문에 다른 민족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지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그 지식을 삶으로 실천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율법을 아는 것은 중요하지만, 율법의 정신을 이해하고 따르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로마서 2장 19절 (Romans 2:19)
KJV: And art confident that thou thyself art a guide of the blind, a light of them which are in darkness,
영문법 해설:
- And art confident that thou thyself art: "art confident"는 "자신이 있다"라는 의미입니다. "thou thyself art"는 "너 자신이 ~이다"라는 의미이며, "thyself"는 재귀대명사로 주어 "thou"를 강조합니다.
- a guide of the blind: "맹인의 인도자"라는 의미입니다. "guide"는 명사로 "인도자"를 의미합니다.
- a light of them which are in darkness: "어둠 속에 있는 자들의 빛"이라는 의미입니다. "light"는 명사로 "빛"을 의미하며, 관계대명사 "which"가 사용되어 "them"을 수식합니다. "in darkness"는 "어둠 속에"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유대인들이 맹인의 인도자, 어둠 속에 있는 자들의 빛이라고 자부하는 것을 지적합니다. 이는 유대인들이 자신들이 다른 민족보다 영적으로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비판하는 것입니다. 바울은 이러한 자만심을 경계하며, 자신을 낮추고 겸손한 마음으로 다른 사람을 섬겨야 함을 강조합니다.
로마서 2장 20절 (Romans 2:20)
KJV: An instructor of the foolish, a teacher of babes, which hast the form of knowledge and of the truth in the law.
영문법 해설:
- An instructor of the foolish: "어리석은 자의 교사"라는 의미입니다. "instructor"는 명사로 "교사"를 의미하며, "foolish"는 형용사로 "어리석은"을 의미합니다.
- a teacher of babes: "어린아이의 선생"이라는 의미입니다. "teacher"는 명사로 "선생"을 의미하며, "babes"는 명사로 "어린아이"를 의미합니다.
- which hast the form of knowledge and of the truth in the law: "율법 안에 있는 지식과 진리의 형식(모양)을 가지고 있는"이라는 의미입니다. "hast"는 "have"의 고어체 형태로, "가지다"라는 의미입니다. "the form of knowledge and of the truth"는 "지식과 진리의 형식"을 의미하며, 관계대명사 "which"가 사용되어 앞 문장 전체를 수식합니다.
신앙적 의미:
유대인들은 어리석은 자를 가르치고, 어린아이를 가르치는 선생이라고 자부했습니다. 그들은 율법 안에 있는 지식과 진리의 형식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이러한 형식적인 지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그 지식을 삶으로 실천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율법의 형식을 아는 것은 중요하지만, 율법의 정신을 이해하고 따르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로마서 2장 21절 (Romans 2:21)
KJV: Thou therefore which teachest another, teachest thou not thyself? thou that preachest a man should not steal, dost thou steal?
영문법 해설:
- Thou therefore which teachest another, teachest thou not thyself?: "그러므로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네가, 네 자신을 가르치지 아니하느냐?"라는 의미입니다. "teachest"는 "teach"의 고어체 형태로, "가르치다"라는 의미입니다. 관계대명사 "which"가 사용되어 "Thou"를 수식합니다.
- thou that preachest a man should not steal, dost thou steal?: "사람이 도둑질하지 말라고 설교하는 네가, 도둑질하느냐?"라는 의미입니다. "preachest"는 "preach"의 고어체 형태로, "설교하다"라는 의미입니다. "a man should not steal"은 "사람이 도둑질하지 말아야 한다"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유대인들이 다른 사람을 가르치면서, 정작 자신은 가르침을 따르지 않는 위선적인 모습을 지적합니다. 도둑질하지 말라고 설교하면서, 자신은 도둑질하는 행위를 비판하는 것입니다. 이는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 위선적인 삶을 경계하며, 진정으로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삶을 살아야 함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로마서 2장 22절 (Romans 2:22)
KJV: Thou that sayest a man should not commit adultery, dost thou commit adultery? thou that abhorrest idols, dost thou commit sacrilege?
영문법 해설:
- Thou that sayest a man should not commit adultery, dost thou commit adultery?: "사람이 간음하지 말라고 말하는 네가, 간음하느냐?"라는 의미입니다. "sayest"는 "say"의 고어체 형태로, "말하다"라는 의미입니다. "a man should not commit adultery"는 "사람이 간음하지 말아야 한다"라는 의미입니다. "commit adultery"는 "간음하다"라는 의미입니다.
- thou that abhorrest idols, dost thou commit sacrilege?: "우상을 몹시 싫어하는 네가, 신성모독을 저지르느냐?"라는 의미입니다. "abhorrest"는 "abhor"의 고어체 형태로, "몹시 싫어하다"라는 의미입니다. "idols"는 명사로 "우상"을 의미하며, "commit sacrilege"는 "신성모독을 저지르다"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유대인들이 간음하지 말라고 말하면서, 자신은 간음하는 행위를 지적하고, 우상을 몹시 싫어하면서, 신성모독을 저지르는 행위를 비판합니다. 이는 겉으로는 율법을 지키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율법을 어기는 위선적인 삶을 경계하는 것입니다. 진정으로 하나님을 사랑한다면,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로마서 2장 23절 (Romans 2:23)
KJV: Thou that makest thy boast of the law, through breaking the law dishonourest thou God?
영문법 해설:
- Thou that makest thy boast of the law: "율법을 자랑하는 네가"라는 의미입니다. "makest"는 "make"의 고어체 형태로, "자랑하다"라는 의미입니다. "thy boast"는 "너의 자랑"을 의미합니다.
- through breaking the law dishonourest thou God?: "율법을 어김으로써 하나님을 욕되게 하느냐?"라는 의미입니다. "breaking"은 "break"의 동명사 형태로, "어기다"라는 의미입니다. "dishonourest"는 "dishonour"의 고어체 형태로, "욕되게 하다"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유대인들이 율법을 자랑하면서, 율법을 어김으로써 하나님을 욕되게 하는 행위를 비판합니다. 율법을 지키지 않으면서 율법을 자랑하는 것은 위선적인 행동이며, 하나님의 이름을 더럽히는 것입니다. 진정으로 하나님을 경외한다면, 율법을 지키고 하나님의 이름을 높이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로마서 2장 24절 (Romans 2:24)
KJV: For the name of God is blasphemed among the Gentiles through you, as it is written.
영문법 해설:
- For the name of God is blasphemed among the Gentiles through you: "기록된 바와 같이, 너희 때문에 이방인 중에서 하나님의 이름이 모독을 받는다"라는 의미입니다. "blasphemed"는 수동태 형태로, "모독을 받다"라는 의미입니다. "among the Gentiles"는 "이방인 중에서"라는 의미입니다. "through you"는 "너희 때문에"라는 의미입니다.
- as it is written: "기록된 바와 같이"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유대인들의 위선적인 행동 때문에 이방인들이 하나님을 모독하게 된다고 말합니다. 이는 유대인들의 책임이 얼마나 큰지를 강조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세상에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해야 하지만, 오히려 하나님의 이름을 더럽히는 결과를 초래한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은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미쳐야 하지만, 악한 영향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로마서 2장 25절 (Romans 2:25)
KJV: For circumcision verily profiteth, if thou keep the law: but if thou be a breaker of the law, thy circumcision is made uncircumcision.
영문법 해설:
- For circumcision verily profiteth, if thou keep the law: "네가 율법을 지키면 할례가 참으로 유익하다"라는 의미입니다. "verily"는 부사로 "참으로"라는 의미입니다. "profiteth"는 "profit"의 고어체 형태로, "유익하다"라는 의미입니다. "if thou keep the law"는 "네가 율법을 지킨다면"이라는 조건절입니다.
- but if thou be a breaker of the law, thy circumcision is made uncircumcision: "만일 네가 율법을 어기는 자라면, 네 할례는 무할례가 된다"라는 의미입니다. "be a breaker of the law"는 "율법을 어기는 자"라는 의미입니다. "is made uncircumcision"은 "무할례가 된다"라는 수동태 표현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할례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율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율법을 지키지 않는다면, 할례는 아무런 의미가 없으며, 오히려 무할례와 같다는 것입니다. 이는 외적인 형식보다 내적인 순종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진정한 믿음은 겉으로 드러나는 행위가 아니라,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순종으로 나타납니다.
로마서 2장 26절 (Romans 2:26)
KJV: Therefore if the uncircumcision keep the righteousness of the law, shall not his uncircumcision be counted for circumcision?
영문법 해설:
- Therefore if the uncircumcision keep the righteousness of the law: "그러므로 만일 무할례자가 율법의 의를 지키면"이라는 의미입니다. "the uncircumcision"은 "무할례자"를 의미합니다. "keep the righteousness of the law"는 "율법의 의를 지키다"라는 의미입니다.
- shall not his uncircumcision be counted for circumcision?: "그의 무할례가 할례로 여겨지지 않겠느냐?"라는 의문문입니다. "be counted for circumcision"은 "할례로 여겨지다"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만약 무할례자가 율법의 의를 지킨다면, 그의 무할례가 할례로 여겨질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는 율법을 지키는 것이 할례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외적인 모습보다 내적인 마음을 보시며, 진정한 순종을 기뻐하십니다.
로마서 2장 27절 (Romans 2:27)
KJV: And shall not uncircumcision which is by nature, if it fulfil the law, judge thee, who by the letter and circumcision dost transgress the law?
영문법 해설:
- And shall not uncircumcision which is by nature, if it fulfil the law, judge thee: "본래 무할례자인 자가 율법을 온전히 지키면, 율법 조문과 할례를 가지고 율법을 범하는 너를 판단하지 않겠느냐?"라는 의미입니다. "which is by nature"는 "본래 ~인"이라는 의미입니다. "if it fulfil the law"는 "만일 율법을 온전히 지킨다면"이라는 조건절입니다. "judge thee"는 "너를 판단하다"라는 의미입니다.
- who by the letter and circumcision dost transgress the law?: "율법 조문과 할례를 가지고 율법을 범하는 너"라는 의미입니다. "by the letter and circumcision"은 "율법 조문과 할례를 가지고"라는 의미입니다. "dost transgress the law"는 "율법을 범하다"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본래 무할례자인 이방인이 율법을 온전히 지킨다면, 율법 조문과 할례를 가지고 율법을 범하는 유대인을 판단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는 외적인 형식에만 치중하고 내적인 순종을 소홀히 하는 유대인들을 질책하는 것입니다. 진정한 믿음은 율법의 조문을 지키는 것을 넘어, 율법의 정신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입니다.
로마서 2장 28절 (Romans 2:28)
KJV: For he is not a Jew, which is one outwardly; neither is that circumcision, which is outward in the flesh:
영문법 해설:
- For he is not a Jew, which is one outwardly: "겉으로만 유대인인 사람이 유대인이 아니다"라는 의미입니다. "outwardly"는 부사로 "겉으로"라는 의미입니다.
- neither is that circumcision, which is outward in the flesh: "육체에 나타나는 겉모습의 할례가 할례가 아니다"라는 의미입니다. "in the flesh"는 "육체에"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겉으로만 유대인인 사람이 진정한 유대인이 아니며, 육체에 나타나는 겉모습의 할례가 진정한 할례가 아니라고 말합니다. 이는 외적인 형식보다 내적인 마음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진정한 유대인은 마음이 변화되어 하나님을 따르는 사람이며, 진정한 할례는 마음의 할례입니다.
로마서 2장 29절 (Romans 2:29)
KJV: But he is a Jew, which is one inwardly; and circumcision is that of the heart, in the spirit, and not in the letter; whose praise is not of men, but of God.
영문법 해설:
- But he is a Jew, which is one inwardly: "오직 이면적으로 유대인인 사람이 유대인이다"라는 의미입니다. "inwardly"는 부사로 "이면적으로", "마음속으로"라는 의미입니다.
- and circumcision is that of the heart, in the spirit, and not in the letter: "할례는 마음의 할례이며, 영에 있으며, 율법 조문에 있지 않다"라는 의미입니다. "of the heart"는 "마음의"라는 의미입니다. "in the spirit"는 "영에"라는 의미입니다. "not in the letter"는 "율법 조문에 있지 않다"라는 의미입니다.
- whose praise is not of men, but of God: "그 칭찬이 사람에게서 나는 것이 아니요, 하나님에게서 난다"라는 의미입니다. "whose praise"는 "그 칭찬"을 의미합니다. "of men"은 "사람에게서"라는 의미입니다. "of God"은 "하나님에게서"라는 의미입니다.
신앙적 의미:
바울은 이면적으로 유대인인 사람이 진정한 유대인이며, 할례는 마음의 할례이며, 영에 있으며, 율법 조문에 있지 않다고 말합니다. 이러한 사람은 사람에게서 칭찬을 받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에게서 칭찬을 받습니다. 이는 진정한 믿음은 겉으로 드러나는 행위가 아니라, 마음의 변화와 영적인 순종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진정으로 하나님을 사랑하는 사람은 마음을 다해 하나님을 섬기며, 하나님의 칭찬을 받는 삶을 살아갑니다.
결론
로마서 2장 17절부터 29절까지의 말씀을 통해 우리는 외적인 형식보다 내적인 순종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율법을 지키는 것은 중요하지만, 율법의 정신을 이해하고 따르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진정한 믿음은 마음의 변화와 영적인 순종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사람은 하나님에게서 칭찬을 받습니다. 우리 모두 겉모습에 치중하지 않고, 마음을 다해 하나님을 섬기는 삶을 살아가도록 노력합시다.